김해김씨 cafe.daum.net·kimmaeng

세(世)와 대(代) 구분

ㅅㅏ진인생 2010. 2. 22. 22:35

 

세(世)와 대(代)

.

 

1세(世)-1대(代)

6대조(六代祖)

 

6대조(六代祖)-6세조(六世祖)

2세(世)-2대(代)

현조(玄祖)

 

5대조(五代祖)-5세조(五世祖)

3세(世)-3대(代)

고조(高祖)

 

4대조(四代祖)-4세조(四世祖)

4세(世)-4대(代)

증조(曾祖)

 

3대조(三代祖)-3세조(三世祖)

5세(世)-5대(代)

할아버지(祖)

 

2대조(二代祖)-2세조(二世祖)

6세(世)-6대(代)

아버지(父)

 

1대조(一代祖)-1세조(一世祖)

7세(世)-7대(代)

자기(己身)

1세(世)-1대(代)

(○)

8세(世)-8대(代)

아들(子)

2세(世)-2대(代)

1대손(一代孫)-1세손(一世孫)

9세(世)-9대(代)

손자(孫)

3세(世)-3대(代)

2대손(二代孫)-2세손(二세손)

10세(世)-10대(代)

증손(曾孫)

4세(世)-4대(代)

3대손(三代孫)-3세손(三世孫)

11세(世)-11대(代)

현손(玄孫)

5세(世)-5대(代)

4대손(四代孫)-4세손(四世孫)

12세(世)-12대(代)

내손(來孫)

6세(世)-6대(代)

5대손(五代孫)-5세손(五世孫)

13세(世)-13대(代)

곤손(昆孫)

7세(世)-7대(代)

6대손(六代孫)-6세손(六世孫)

14세(世)-14대(代)

잉손(仍孫)

8세(世)-8대(代)

7대손(七代孫)-7세손(七世孫)

15세(世)-15대(代)

운손(雲孫)

9세(世)-9대(代)

8대손(八代孫)-8세손(八世孫)


시조(始祖)를 기점(起點, 1세)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 하고,

나(己身)를 기점으로 위로 올라가며 계산할 때 대(代)라고 한다.

 

또한 자기의 조상을 몇 대조(代祖) 할아버지라고 하고,

자신은 시조 또는 어느 조상으로부터 몇 세손(世孫)이라 해야 한다

 

혹은 선조(先祖)에는 세(世)를 쓰지 아니하므로 5세조(世祖)라 하지 않고

고조(高祖)는 4대조(代祖)라 한다는 등의 알음이 상당히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이 꼭 그런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광성군(光城君) 휘(諱) 정(鼎)의 묘갈명(墓碣銘)에서

문안공(文安公) 휘 양감(良鑑)을 11세조(十一世祖)라 하였으며

이는 위로 계산하는 경우이면서도 세(世)를 쓴 실례(實例)를 보이는 것이다.

 

 출처 : 광산김씨 예안파 보학자료 http://kksga99.hosting.paran.com/bohak.htm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같은 뜻으로

특정인(조상)의 몇 번째 자손인가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개념으로

나(본인)는 아버지의 1세손(대손),

할아버지의 2세손(대손),

증조부의 3세손(대손),

고조부의 4세손(대손),

5세조(대조)의 5세손(대손)

이 되는 것입니다.
http://blog.daum.net/kimhea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