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지구
- 투후 김일제
- ISS
- 환단고기 출간
- 10대뉴스
- 상고사
- 대구수목원
- 행촌이암
- 남평문씨
- 단군
- 인수문고
- 남평문씨인흥세거지
- 포네틱코드
- 보이저호
- 한국사연표
- 화원유원지
- 한국역사
- 10대 뉴스
- 우포늪
- 포토샵
- 이승만
- 중국연대표
- 판문점선언 소요예산
- 1.끝나지 않은 전쟁 2.자연생태계 3.민통선 개척민 4.두 얼굴의 DMZ
- 문태갑
- 남평문씨 세거지
- SWR
- 전리층
- 환단고기
- 포토샵 단축키
- Today
- Total
ㅅㅏ진인생/DS5ZWK
탁영,김일손 선생추모지 자계서원 에서... 본문
오늘 아이들과 함께
자계서원(경북청도군소재)을 다녀왔다.
이곳은 김해김씨 삼현파 남계공파(참판공파) 의
파조인 김맹의 아들 김일손을 추모하고 덕행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곳이다.
김일손은 나의16대 조부이다.
자계서원紫溪書院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김일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중종 13년(1518)에 지은 서원이다.
선조 11년(1578)에 다시 지었으며,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 7년(1615)에 다시 짓고 김극일과 김대유를 더하여 모셨다.
현종 2년(1661)에 ‘자계(紫溪)’라는 사액을 받아 나라의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고종 8년(1871)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24년에 복원되었다.
‘자계’는 연산군 4년 무오사화(1498)로 김일손이 화를 입자 서원 앞을 흐르는 냇물이 3일 동안 붉게 변한데서 유래하였으며,
서원 이름도 자계서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로는 사당인 존덕사와 제사준비를 하는 전사청, 강당인 보인당, 신문, 영귀루, 동·서재 등이다.
이 중 영귀루와 동재·서재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영귀루는 서원에서의 여러 행사를 하고, 학생들이 모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공부하고 숙식하는 생활공간이다.
영귀루 옆에는 김일손이 심었다고 전하는 은행나무가 있고, 원정비·신도비 등이 비각 안에 있다.
"연려실기술"등 수십 권의 문집이 소장되어 있으며, 유물로는 칠현금이 보관되어 있다.
↑오늘 날씨는 2월인데도 따사로운 봄기운이
온몸으로 느껴진다.
저기 대청마루(보인당)에 앉아 있노라니
햇볕 따뜻함이 마주보이는 전망 탁트임과 일치하니 한결 따스함이 더해준다.
↑ 대청마루(보인당) 에서 바라본 정면
↑탁영,김일손선생 추모비
↑탁영,김일손 선생이 직접 심으셨다는 은행나무
↑ 김일손 선생은 무오사화로 35세에 요절했으며,이글은26세에 쓴 시 이다.
↑수령500년된 은행나무
'나들이·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녹화기념숲 (0) | 2010.05.03 |
---|---|
어제 대구수목원 에서... (0) | 2010.03.29 |
2009송년나들이그리고2010해맞이 (0) | 2010.01.02 |
경주 신라밀레니엄파크 를 다녀옴 (0) | 2009.12.28 |
해인사 홍류동과 백운동을 지나... (0) | 2009.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