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대구수목원
- 전리층
- 남평문씨 세거지
- 남평문씨인흥세거지
- 중국연대표
- 환단고기 출간
- 보이저호
- 판문점선언 소요예산
- 행촌이암
- 상고사
- 환단고기
- 한국역사
- 한국사연표
- 포토샵 단축키
- 화원유원지
- 인수문고
- 우포늪
- 1.끝나지 않은 전쟁 2.자연생태계 3.민통선 개척민 4.두 얼굴의 DMZ
- 10대뉴스
- 남평문씨
- 10대 뉴스
- 문태갑
- 단군
- 지구
- 이승만
- SWR
- ISS
- 투후 김일제
- 포토샵
- 포네틱코드
- Today
- Total
목록김해김씨 cafe.daum.net·kimmaeng (16)
ㅅㅏ진인생/DS5ZWK
탁영선생의 유물전시회가 있어 경북 청도군 소재 '청도박물관"에 가보았습니다. "삼현파"의 유래 한강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
경남김해 의 김수로왕비 허황옥의 인도공주 기록을 찾아서 ...
탁영선생<김일손>연보 상(1/2) <原文: 濯纓先生年譜 金大有 著 高宗11[1874] 국립중앙도서관 일산古2511-10-25, 參考譯文: 增補濯纓先生年譜 2006.9.30. 感慕齋宗中, 解釋 : 2008. 8. 15. 金順大, 編輯 :金乙泰> 나는 일찍이 탁영선생(김일손1464~1498)의 문집을 읽어보았는데, 하늘까지 간간이 기..
봉하마을 가는길에 들러보았다.저산서원... 저산서원 (김해김씨 삼현파 시조 金菅 배향 ) 자료1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유등리 331-4.5 번지 저산서원은 고려 후기 문신인 삼현파1세 김관(金菅)을 주향으로 하여, 2세 김문숙(金文淑).3세 김항(金伉).4세 김서(金湑)를 배향하고 있다 저..
올 여름에는 이책을 읽고 있다. (김일손은 나의 16대조부 이시며,경북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 "자계서원"에 배향되어 있다.) 16세기 사림들을 살펴보는『사림열전』제2권. 삶과 죽음을 걸고 절의와 진정성을 실천한 16세기 사림들 중에서, 온갖 당쟁과 사화로 얼룩진 당대의 정치 지형 속에서 학문적 역량..
아버지의 기록을 보고.. 할아버지 의 기록을 보고 ... 그리고 틈틈히 증조할아버지와 고조 할아버지의 기록을 보고 우리집 가계도를 하나씩 그렸습니다. 틈틈히 5대조.6대조.7대조.8대조.9대조.10대조 까지 보게 되었고 삼현파의 시조 김관 할아버지 까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나로부터 10대조 할아버지 까지 의 가계도가 완성 되었습니다. http://cafe.daum.net/kimmaeng/YwUY/2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10대조 까지의 가계도 와 김해김씨 삼현파에 대한 내력을 정리하여 보관하다가 일가친지들 이나 삼현파 여러분들께서 좋은자료가 될거 같아 함께 보실수 있도록 여기 카페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인터넷 게시판 에는 많은 사람들이 김해김씨 삼현파의 내력에 대한 질문을 많..
탁영선생(김일손) 은 "사진인생"의 16대 조부 이시다.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자계서원 이 지방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1498년 무오사화 (연산군 4년,김일손 35세 별세) █ 1498년 7월2일 에 사기(史記) 일로 체포되다. 명을 받든 사자(使者)가 청도에 도착했는데, 당시 선생은 함양에 있었다. 대유(김일손선..
탁영선생(김일손1464-1498). 본관이 김해인 탁영선생(김일손金馹孫) 은 이곳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17세까지 할아버지 극일(克一)로부터 등을 배우고 이어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김굉필, 정여창, 강혼 등과 함께 학문의 깊이와 폭을 넓혔다. 23세 되던 해인 1486년(성종 17) 문과에 급제 벼슬길에 나아갔다. 1491년(성종 22) 장래가 촉망되는 문신(文臣)에게 주어지는 사가독서(賜暇讀書)에 뽑혀 학문연구와 독서에 매달리는 영예를 누린다. 이어 정언, 이조좌랑 · 정랑 등을 두루 거치면서 공직자로서 자질을 더욱 향상시켰다. 한 때 글의 음운이나 제도 등에 관한 의문점을 중국에 가서 알아오는 임시직인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에 가서 그곳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정유라는 사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