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끝나지 않은 전쟁 2.자연생태계 3.민통선 개척민 4.두 얼굴의 DMZ
- 포토샵
- 투후 김일제
- 한국사연표
- 대구수목원
- 보이저호
- 전리층
- 우포늪
- 환단고기
- 10대뉴스
- 문태갑
- 화원유원지
- 판문점선언 소요예산
- 상고사
- ISS
- 환단고기 출간
- 이승만
- 한국역사
- 남평문씨
- 중국연대표
- 인수문고
- 남평문씨 세거지
- 단군
- 남평문씨인흥세거지
- 지구
- SWR
- 행촌이암
- 10대 뉴스
- 포토샵 단축키
- 포네틱코드
- Today
- Total
목록고조선[古朝鮮]&환단고기 (61)
ㅅㅏ진인생/DS5ZWK
세계최고 과학저널 "네이쳐," 요하문명과 현대 한국인의 연관성을 이야기하다.
《십팔사략》기준三皇: 태호복희, 염제신농, 황제(黃帝)헌원五帝:소호(少昊), 전욱(顓頊), 고신(高辛), 당요(唐堯), 우순(虞舜) 삼황오제(중국어: 三皇五帝, 병음: sānhuáng wǔdì)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제왕들로 세 명의 황(皇)과 다섯 명의 제(帝)를 말한다. 이들 여덟 명의 제왕은 중국 문명의 시조로 추앙되며 근대 이전의 중국에서 신화가 아닌 역사로서 추앙되었다. 현대의 역사학계에서는 삼황오제 신화가 후대에 창조되고 부풀려진 신화이며,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판단하고 있다.[1]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 중국은 중화민족주의에 입각하여 국가 차원의 개입을 통해 삼황오제를 실존 인물로 격상하려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학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2]역사[편집]삼황오제 신화의 기본 틀이 ..
제 목 은왕조가 동이족이었다는 고증및 사례 은왕조가 동이족이었다는 고증및 사례 중국의 문헌에서 찾은 동이족에 대한 고증 ▒ 중국민족의 조상은 바로 동이족이다. ▒ 삼황오제의 8대 임금들은 숙신(조선의 옛이름)에서 나왔다. ▒ 순임금은 동이족이다. 또 순임금의 선조인 황제도 동이족이 되는 것이다. ▒ 태호복희의 성은 風이며, 고대 동이족이다. ▒ 은나라는 이(동이족)의 나라이고, 주나라는 화(華 : 중국 漢족)의 나라이다. ▒ 은나라는 동이족이다. ▒ 중국 고대사는 모두 동이족의 역사다. 이일봉님의 [실증 한단고기]를 통한 인용 고대사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치우천왕蚩尤天王과 황제헌원黃帝軒轅간의 [탁록의 싸움]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혹자는 치우천왕이 승리했다고 하고 혹자는 황제..
삼국유사삼국유사 권 1, 기이 제1(서문)by 최인표 2022. 4. 11.紀異卷第一叙曰 大抵古之聖人 方其禮樂興邦 仁義設敎 則怪力亂神 在所不語 然而帝王之將興也 膺符命受圖籙 必有以異於人者 然後能乘大變 握大器 成大業也 故河出圖洛出書而聖人作 以至虹繞神母而誕羲 龍感女登而生炎 皇娥遊窮桑之野 有神童自稱白帝子 交通而生小昊 簡狄呑卵而生契 姜嫄履跡而生弃 胎孕十四月而生堯 龍交大澤而生沛公 自此而降 豈可殫記! 然則三國之始祖 皆發乎神異 何足怪哉! 此神異之所以漸諸篇也 意在斯焉삼국유사 권 1, 기이 제1서술하여 말한다. 대가 옛날의 성인은 그 예와 악으로 나라를 일으키고, 인과 의로서 가르침을 베푸는데 곧 괴이한 것과 영력과 패란과 귀신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은 바가 있었다. 그러나 제왕이 장차 일어나려할 때는 하늘이 제왕에게 내리..
광개토대왕비의 138자를 복원한 계연수의 무술등본(戊戌謄本) 138자를 복원한 운초 계연수의 무술등본(戊戌謄本) 운초 계연수(桂延壽, 1864-1920)는 1898년 5월에 집안에 있는 광개토태왕비를 답사하여 탁본을 떴는데 이것을 무술등본(戊戌謄本)이라 부른다. 필자가 직접 찍은 광개토태왕비 : 고구려 붕괴 이후 발해, 거란, 금, 원의 영토가 됨. 조선의 사신들은 광개토대왕비를 금나라 유적으로 오인. 에는 황폐한 성과 오래된 비석을 언급. 성현 선생은 비를 읽어보지 못했다고 기록. 17세기 청나라 봉금제로 인해 방치. 광개토태왕비 탁본의 종류 : 원석탁본(原石拓本) : 원석탁본(아무런 가공 없이 비석의 상태 그대로 뜬 탁본)인 이른바 ‘청명(靑溟)본’과 ‘미즈다니(水谷)본’ 등 10여본이 있..
환국(환단고기) - 나무위키 (namu.wiki) https://namu.wiki/w/환국(환단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