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
| |||
(도쿄=연합뉴스) 이홍기 특파원 =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12일 사의를 표명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2시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의 국정혼란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기로 했다고 정식 표명한 뒤 정치 공백을 줄이기 위해 자민당 집행부에 후임 총재를 조속히 선출해줄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자민당은 아베 총리의 사의 표명으로 후임 총리가 될 새 총재 선거 준비에 착수했다. 후임 총리로는 지난달 27일 당정 개편에서 당 사령탑으로 발탁된 아소 다로(麻生太郞) 간사장이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작년 9월 26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의 뒤를 이어 취임한 아베 총리는 새 총리가 선출될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하게 된다.
아베 총리는 사임 이유로 테러대책특별조치법의 연장 문제와 관련, 민주당의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대표에게 이날 "솔직한 대화를 위해 여야 당수회담을 제의했으나 거절당하는 등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힘든 상황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참의원 선거 참패를 반성하며 개각을 단행했으나 강력하게 정권을 운영해나가는 것이 더이상 곤란한 상황이어서 스스로 결단을 내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의 사의는 앞서 총리실측으로부터 자민당 간사장실로 전달됐다.
자민당은 곧바로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 대책 등을 협의한 뒤 아소 간사장 등 집행부가 총리 관저를 방문, 아베 총리와 면담을 가졌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중의원 본회의에서 각당 대표 질문에 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베 총리의 사의 표명으로 이날 예정된 국회 일정이 취소됐다.
아베 총리는 참의원 선거 참패 후 당 안팎의 퇴진 여론에도 불구하고 총리직을 유지하며 2기 내각을 발족시켰으나 국고 부정수령 문제로 퇴진한 엔도 다케히코(遠藤武彦) 전 농수산상 문제 등 불상사가 잇따르면서 구심력이 현저히 저하됐다.
또한 인도양에서 해상자위대가 미군 등 다국적군을 상대로 실시중인 급유지원 등의 근거가 되는 테러특조법의 연장 문제를 놓고 민주당 등 야당측과 격렬한 대립을 해왔다. 아베 총리는 최근 급유지원 약속이 지켜지지않을 경우 내각 총사퇴를 포함한 책임을 지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