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ㅏ진인생/DS5ZWK

친일사학자 이병도박사 양심고백 본문

조선上古史&환단고기

친일사학자 이병도박사 양심고백

ㅅㅏ진인생 2013. 12. 14. 15:24

자료1

식민사학의 거두 이병도의 뒤늦은 참회 (1986년,1988년)

이병도 [李丙燾 ] [1896~1989]

 

 

1919년 와세다 대학 사학과졸업후 귀국

1925년 조선사편수회에 촉탁

1934년 진단학회 이사장-

1941년부터 이화여자전문학교에 출강하였다.

1946년 서울대학교 교수

1960 문교부 장관 충무공훈장, 문화훈장대한민국장, 학술원상, 국민훈장무궁화장, 인촌(仁村) 문화상,

       5·16 민족상 수상

자료2

친일사학의 거두 고 이병도 박사의 양심 고백<"단군조선은 사실이다."> | 다시 쓰는 역사
2004.08.16 12:52

치우천황(nokjisa) ttp://cafe.naver.com/jaoji/408


지금은 타계하고 안 계신 고 이병도 박사께서는 초대 서울대 역사학 주임교수를 지낸 분이다. 대한민국의 공인된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단의 교사 선생 교수님들에게는 역사 분야에 있어 아버지와 같은 분이다.

그리고 이병도 박사는 대한민국의 역사 학계가 강단과 재야, 그리고식민사관과 민족사관으로 양분되어 있는 현실에서, 재야로 대표되는 민족사관과 대립하는 강단 식민사관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어른이다.



이병도 박사는 일제 시대에 조선 식민 지배를 위한 조선사편수회에 협력하였던 인물로, 반민특위가 여러분들 모두가 다 알다시피 이승만 대통령의 사주를 받은 친일 경찰에 의해 해체된 까닭으로, 반민족행위에도 불구하고 그는 살아남는 행운을 얻었다.

그런데 고 이병도 박사 개인의 행운은 역설적으로 우리 민족의 씻을 수 없는 커다란 불행이 되고 만다. 문교부로부터 서울대 문리과대학 역사학 주임교수로 임명되어 친일사학을 가르치게 된 까닭으로 우리 국민의 역사 의식은 일제가 조선 지배를 위하여 조작하여 놓은 식민사관의 틀을 계속 이어나가게 되었기 때문이다.

현대에 있어서도 학맥 싸움이란 것이 있다. 인문분야에 있어 학맥이란 것이 일단 한 대학에 뿌리 박히게 되면, 그 학맥의 시조는 한 종교의 교주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게 되어, 이에 반하는 학설을 주장하는 자는 임용되기 거의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대학의 교수는 거의 대부분 박사가 하는데,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박사학위라는 것을 심사하는 사람은 박사라야만 된다. 그 해방 당시를 살펴보면 국내에는 박사학위를 가진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였는데, 역사 분야에 있어서는 일본 와세다 대학에 유학한 이병도가 거의 유일한 박사학위 소지자였다.

이승만 대통령이 해방 후 대통령이 되고서도 대통령으로 불리기 보다는 박사로 불리기를 바랬던 것을 상기하면 이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리라 본다.

아무튼 해방된 해인 1945년부터 이병도의 주도에 의해 역사학 분야 석박사 학위가 결정되고, 교수의 임용이라든가, 타대학 교수 추천, 제반 분야의 영향력 행사를 통해, 신민사학은 강단에 뿌리를 깊게 내리게 된다. 반면에, 이들이 구축한 학맥에 의해서 사대 식민사관과 정반대의 성격을 지닌 민족사관은 강단에 단 한명도 서지 못한 채 재야로 내몰리고 만다.



우리가 재야에 있다고 해서 재야사학이라고 부르는 재야사학이란 것은 과연 무었일까.

재야사학의 뿌리는 단재 신채호 선생이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반대하여 중국에 망명하였고, 오로지 한겨레의 바른 역사를 밝히어 대한독립의 당위성을 밝히고자 한 분으로, 일제의 압제에 신음하는 동포에게 독립의 꿈과 희망을 주었다. 그러기 때문에 단재 신채호 선생의 사학을 민족사관이라고 한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단재 선생은 독립운동 과정에서 일경에 의해 체포되어 일제의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으로 1936년에 여순감옥에서 비극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 이후 민족주의 사학은 이병도로 대표되는 식민사학에 밀려 해방전에 이어 해방후에도 강단에 서지 못하고 재야에서 연구를 계속하게 된다. 이것이 곧 재야사학이다.



아무튼 이 식민사학을 일제시대에 이어 해방후에도 거의 수정없이 우리나라 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그대로 가르치게 되었고, 해방후 60여년이 지난 2003년 오늘도 변함없이 식민사관은 이들에 의해 대한민국 공인된 역사사관으로 대우받고 있다.



▶다음 기사는 친일 식민사학의 거두 고 이병도 박사가 임종을 앞두고 그간의 자신의 주장을 번복한 것으로, 단군조선이 실재했음을 인정한 글이다.

그렇다면 이병도 자신이 구축한 학맥의 제자들이 이병도 교수의 참회를 본받아 신민사학을 철회했느냐 하면 절대 그렇지 않다.



미국에 있었던 일이라 한다. 남북전쟁으로 노예가 해방되었는데 한 흑인 가족이 주인을 살해하였다고 한다.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주인이 자신들을 해방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죽였다는 것이다. 그들은 노예 생활 내내 주인을 신처럼 생각했고 마음에서 우러나서 지극정성으로 모셨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주인이 이제 정부 정책이 그러니 나가서 돈벌면서 자유롭게 살라고 하자, 노예는 애원을 하면서 제발 이대로 노예로 살게 해달라고 했는데도, 주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자 살해를 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가 뜻하는 바가 무었인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한민족 뿌리와 미래 회원들은 노예의 근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강단 사학계의 실태를 굳이 말안해도 알기 때문이다.



이병도 박사는 1989년 타계하였다. 2003년 현재 이병도 박사가 죽은지 15년이 되었지만, 대한민국의 초중고 대학 강단에서는 변함없이 친일 식민사학을 강의를 하고, 학생들은 여전히 사대식민사관의 주입을 강요받는다.



중국은 현재 수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책정하여 고구려 죽이기에 나서고 있다. 신문지상에 소개되었듯이 중국은 고구려의 지배를 받은 지방정권이었다는 것이 그들 주장의 핵심이다.

수나라 문제가 130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공격하다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에 의하여 전멸을 당해 나라가 망하였고, 당태종이 역시 30만 정예 대군으로 고구려를 공격하다 안시성 싸움에 전멸당하다시피하여, 쫓긴 끝에 장안성에서 항복을 한 사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강단사학자들은 중국의 부당한 주장에 대하여 아무런 반박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민사학의 속성상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의 학맥을 버리려 하지 않는다. 대학 교수 자리는 부와 명예가 보장되는 자리기 때문이다.



2009년이면 국제법상 합법적으로 만주가 중국의 영토가 된다고 한다. 중국이 6년만 더 실제 점유를 하면 대한민국의 영토인 만주가 중국의 영토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으로 그들은 만주내의 조선족에게 조선족은 중국인이라고 세뇌교육을 시키고 있다. 만주 내의 조선족이 자신들은 대한민국 국민이라고 하면 낭패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어떻게 해서든 대한민국의 재외동포 지위에 관한 특별법을 저지하려고 한다. 중국 조선족이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얻으면 국제법상 실제 점유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으로 중국 정부의 만주 지배정책은 역사 왜곡 및 위조, 조선족 세뇌, 조선족의 만주에서 타지역으로의 소개, 대한민국의 재외동포 지위에 관한 특별법 제정 방해로 요약될 수 있다.



중국 당태종이 고구려를 침략하려는 순간에 고구려 고성제가 연개소문을 제거하려 하자 고구려 대막리지 연개소문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문밖에 범과 이리가 가까이 왔거늘 구제할 생각은 하지 않고 도리어 나를 죽이려한다"



*다음은 이병도 박사가 죽음을 삼년 앞둔 시점에서 평생 자신이 주장한 학설을 모두 뒤집고 단군 조선의 실재를 인정한 기사로 1986년 10월 9일 조선일보에 실린 글이다. 아마 그도 죽음을 앞두고 조상 뵙기가 두려웠나 보다.



단군은 신화아닌 우리국조

- 조선일보 1986년 10월 9일자 인용


"역대왕조의 단군제사 일제때 끊겼다"

대체 천이란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지만 그중에서 천을 군장의 뜻으로 해석할 때에는 개천절은 즉 「군장을 개설한다」는 것이 되므로 개국, 건국의 뜻이 된다.

그러면 우리의 이른바 개천은 즉 최고 시조인 단군의 즉위와 개국을 의미하는 개천이라고 보아야 하겠다.

그런데 삼국유사 기이 제1권의 「고조선(왕검조선)」조에 의하면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했다.

단군의 아버지 환웅이 「홍익인간」의 이념을 가히 실현할 만하므로 하늘이 그를 인간세계에 내려보내 다스리게 하니 환웅이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정 신단수하에 내려와 이곳을 신시라 하고 그를 환웅천왕이라고 하게 되었는데, 그는 풍백(풍신) 우사(우신) 운사(운신)의 삼신을 거느리고 주곡 주명 주형 주선악등 무릇 인간삼백육십여사를 주관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것은 일견 지상국가를 천상국가의 한 연장으로 관념한데서 생긴 신화와 같이 보이나 이 신화를 검토하면 환웅천왕의 존재는 실상 지상국가를 개창한 군장이라기 보다는 인간사회의 백사를 주관하는 수호신적 성격을 가진 존재임을 알 수 있다.

서낭당은 천왕당

이 수호신의 주처는 곧 신단수로 이것은 지금 민속중에 생생히 남아 있다. 다시 말하면 지금의 서낭당이 그곳이니 선왕당(서낭당)은 즉 천왕당인 것이다. 이 서낭당의 나무가 곧 신단수 그것이고 그 밑의 돌무더기가 신단이다. 그리고 옛날에 이 신단을 중심으로 한 부락이 신시였던 것이다.

신단수는 실상 원시사회의 수목숭배(수목숭배)에서 시작되어 처음에는 수목자체가 신 그것이었는데, 그후 변천하여 신단수는 천신 천왕의 강하계단, 혹은 천왕의 주처 또는 그것의 상징으로 여기게 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그렇다하고 옛날의 국호는 대개 도읍지의 이름과 일치하므로 단군의 도읍지라고하는 아사달(아사달)이 정작 국호였고 조선은 후에 이르러 「아사달」을 아역한 것이니 이에 대해서는 서울대 논문집(사회과학)제2집에 「아사달과 조선」이란 졸고를 통해서 자세히 발표하였다. 환웅천왕이 웅녀와 혼인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고기에 전하여 오지만 여기의 웅녀는 고기에는 웅이 여신으로 화한 것이라 하나 이는 웅(곰) 토템족의 여자로 해석하여야 옳다고 나는 연래 주장해 오고 있다.

즉 웅을 신성시하여 자기의 조상이 곰에서 나왔다 하여 종족의 칭호로 삼던 족속의 여자란 뜻이다. 그리고 보면 웅녀는 지상족이라 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환웅은 천상족, 천신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단군은 즉 이 천신족과 지신족과의 결혼에서 생긴 것이라고 하겠다.

그런데 10월3일(음력)을 개천절이라 하여 단군의 개국일로 기념하여 온 데는 역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원래 십월절은 종교적으로나 민족적으로 큰 의의를 가진 달이다.

즉 십월절은 4계절의 하나로서 계절과 농업과는 큰 관계를 가졌으므로 고대 농업사회에서는 계절이란 것을 상당히 중시하였다. 그래서 계절마다 부락공동체의 종교적 대제전이 행해져 신인공락(신인공락)의 놀이를 하였던 것이다. 이를 계절제(Season festival)라고 하는 것인데 계절제중에서도 더 중요시하는 것이 락종(하종)시의 계절제와 추수기의 계절제였다.

이 두 계절제는 어느 계절제보다 더 중요시하고 따라서 그 의식도 성대하였다. 전자는 즉 신에게 년사의 풍등을 기원하는 것, 후자는 수확에 대한 감사제 혹은 천신제로서 서양에서는 이것을 「Thanks giving」이라 하여 오늘날까지도 행하고 있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도 낙종기의 제전을 오월에, 추수기의 그것은 10월에 행하여 군중이 한데 모여 천신에게 제사하고 가무와 음주로 주야를 쉬지 않고 즐겁게 놀았는데(군민이 동락하였는데) 이 제사를 수리라고 했던 것 같다. 후세에 5월단오를 수릿날이라 하며, 수리취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여러 가지의 놀이를 하며 십월을 상달이라 하여 초생에 집집이 신에게 고사하고, 선조무덤에 시제를 지내는 풍속이 있지만 이야말로 옛날로부터 내려오는 오월제 십월제의 유풍이라 할 것이다.

「상달」은 「수리달」

「수리」란 말은 상,고,산,신 등을 의미하는 고어로 그 어원은 「솟」「소슬」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보면 10월을 상달이라고 하는 것도 즉 「수리달」의 역으로 볼 수밖에 없다. 부여의 영고제, 고구려의 동맹제, 동예의 무천제가 다 이러한 추수감사제인 것은 더 말할 것도 없고 고려시대에 성행하던 연등대회, 팔관대회도 춘동이기의 국가적 대제전이었지만 그중에도 가장 성대하던 것이 중동팔관이었다. 그런데 최근세 갑오경장이후로 민족의식 민족정신이 앙양됨에 따라 이 10월절의 고속을 갱생시켜 이로써 단군입국의 개천절을 삼은 것은 오랜 전통에 기인한 역사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옛날 민속에 흔히 음력10월초생 특히 3일에 「고사」를 지내왔다는데 왜 3일을 택했느냐 하면 3이란 수는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는 수인 까닭이다. 3은 정족의 수인만큼 안정감을 가진 것이니 1이나 2는 실상 불안정감의 수이다.

일제의 멍에를 벗고 해방이 되자 그 해로부터 개천절을 우리의 전 민족적 국경일로 삼아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행하여 오다가 정부수립 후에는 양력 10월3일로 정하게 되었던 것이다.

위에 말한 것들은 졸저 「두계잡필」에 이미 말한 바 있다. 그런데 현정회이사 이희수씨가 1977년 10월 「현정지」에 「사서상에서 본 국조단군」이라는 제목하에서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이 지금은 없어진 「고기」와 「구삼국사기」와 현존 위서와는 다른 또 하나의 위서의 단군기사에서 인용하였다고 그 출처를 밝히고 있을 뿐 아니라 사대의 입장에서 기술한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도 삼국이전의 사기를 의식적으로 피하려고 하면서도 여러 곳에서 고조선과 단군에 관하여 언급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단군에 관한 기재를 제외하였지만 동서권십칠 고구려본기오 동천왕이십일년춘이월조에 「왕이환도성경란불가복도축평양성이민급묘사평양자본선인왕검지택야혹운왕지도왕검」이라고 하였다(혹운이하의 왕지는 왕노릇을 하였다는 동사로 읽어야 하고 「도왕검성의 도도 동사로 읽어야 할 것을 잘못 「왕지도왕검」이라고 연서하였다. 그뿐 아니라 이때의 평양은 지금의 평량(평토량)이 아니라 고구려의 황성(황성, 즉 환도성)의 대안인 동황성(금강계)인 것이다. 지금의 평량에는 아직도 이때 낙랑군이 건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인왕검지택」이라고 한 평량은 후일의 평량(지금의 평량)의 지칭이므로 전후자를 혼동하여서는 안된다.

당시 평양은 다른 곳

김부식과 같은 사가의 태도로 미루어보면 고성기자지택이라고 하지 않고 선인왕검지택야라고 한 것은 김부식의 머리속에 지금의 평량이 선인왕검의 도읍지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내외사서들이 한결같이 지금의 평량을 왕검성이라고 하는데 이의가 없었던 것 같다.

김부식이 고기를 인용한 부분을 보면 ①사기지리지고구려조에서 고기운주몽자부여도난지래본칙흘승골성 ②사기 지일 제사조에서 「고기운온조왕이십년춘이월설단사천지」 ③사기 열전 김유신상에서 김춘추가 강화하려고 고구려에 갔던 기록 가운데 주석을 달기를 「차여본언진평왕 십이년소서일사이소이이개고기소전고양존지」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보면 고기에는 단군기사가 기재되어 있을 뿐아니라 그 기록이 고구려에 김춘추가 갔던 서기640년대까지도 남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김부식이 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이일년서이월조에서 「평량은 본래 선인왕검의 댁」이라고 한 것은 역시 고기이거나 단군기를 인용한 것으로 밖에는 볼 수 없다. 그리고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신라의 육촌도 조선의 유민이 산간에 와서 자리잡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삼국사기 권제일신라본기제일에 보면 「시조성 박씨‥즉위거서간시년십삼국호서나벌선시 조선유민분거 산곡지간위육촌」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일연이 인용한 고기의 단군기재를 근거있다고 볼 수 있으며 거듭 언급하지만 김부식이 평량이 선인(단군)왕검의 댁이라고 명기한 데서 고기가 단군기사를 실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일연이 마치 근거도 없는 고기를 들먹여서 단군기사를 지어냈다고는 볼 수가 없다.

우리 민족이 여러차례의 국난을 겪으면서도 단군묘에 제사하며 국가의 대행사인 축제때에는 노래(세년가)에 의하여 단군의 사적을 전해 내려온 사실은 너무도 명확하다.

세종실록권40 세종10년 무신6월조에 유관의 상서를 보면 문화현 구월산 동령허리에 신당이 있는데 어느 때에 세웠는지 알 수 없으나 북벽에 환웅천왕, 동벽에 환인천왕, 서벽에 단군천왕을 모셨는데 문화현 사람들은 이를 삼성이라고 일컬으며 산아래 부락을 성당리라고 한다고 하였다. 유관은 그 상서중에서 「구월산은 현의 주산이던 단군조선 때에는 아사달산이라고 하였으며, 신라에 와서 궐산이라고 고쳤다. 그때에 문화현을 궐구현이라고 처음에 이름하였다. 고려때에 유주감무로 하고 후에 또 문화현으로 고쳤다. 산 이름의 궐자를 느리게 소리내어 구월산이라고 부른다.

두 수의 시에 나타나

문화의 동쪽에 장장이라고 하는 지명이 있다. 부로들이 전하기를 단군의 도읍지라고 한다‥」하였으며 「구월산하에는 환웅을 남면으로 모시고 동서향으로 환인과 단군을 모신 삼성당이 지금도 존재하며 단군이 입도하였다는 자취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세종18년 병진 12월정해조 류사눌(류관의 조카)의 상서중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신이세년가고지단군초도평(토양)후도백악무정팔년을미입아사달산위신기가왈형국일천사십팔지금묘재아사달칙등무소처호우황고려건묘어구월산하기당우위판유존여세년가합」.

이로써 보면 고기 단군기 외에 가사형식으로 된 단군기사가 전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그 세년가는 사실들과 부합되니 단군기재에 근거가 있다고 하였다. 유사눌은 한성부사를 지냈는데 또 상서하기를 「신이 단군세년가를 보니 단군은 조선의 시조입니다. 그 출생이 일반사람과 다르고 몰함에 신이 되었다」고 하였다. 어쨋든 조선세종대까지 단군세년가가 남아있었고 식자들이 그것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명기해 둘 만한 사실인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류관의 상서에 따르면 삼성당은 황해도 구월산 동령에 있다. 류관은 젊었을 때부터 거기에 내려가서 부로들로부터 단군사적이 오래되었음을 알았다고 했다. 삼성당에 환웅천왕을 상좌에 모셔서 남면하게 하고 동벽에는 환인천왕을 모셔서 서향하게 하고 서벽에는 단군천왕을 모셔서 동향하게 하였다고 한다. 삼성당의 경내외에는 새짐승들이 서식하지 않으며 산짐승도 들어가지 않는다고 했다. 또 가뭄이 심할 때 빌면 비가 내린다고 했다.

문헌비고 권64 찰고1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삼성사는 황해도 문화현 구월산에 있으며 환인 환웅 단군을 모셨으며 춘추로 제사를 드린다 하고, 역시 문헌비고에 의하면 조선조 성종13년에 황해도 관찰사 이예지의 말에 좇아서 구월산에 삼성묘를 세우고 평낭(토량)의 단군묘의 예에 따라서 매년 향축을 보내어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동국여지승람 권42 문화현사묘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삼성사는 환인 환웅 단군의 사이다. 춘추로 제사를 지내며 가물 때 빌면 효험이 있다.」 「동국여지승람 권51 평낭조」에 보면 두 수의 시를 통하여 「개국한 지가 멀고 먼 단군은 조선시조이다. 단군의 역사는 언제 비롯되었는가. 요와 함께 개국하였다고 들었으니 거금 사천년이며 단군묘를 남겼다」고 하였는데 여기에는 주체사상이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조선 양조를 통하여 1천년간에 단군에 대한 국가적 태도는 묘를 세우고 제사를 받드는 등 자못 융성하였다. 이것은 단군을 국조로 섬겼음을 알 수 있다.

세종때 새 사당 지어

문헌비고 권13 여지고1 역대국계1에서는 단군조선국을 첫머리에 싣고 유사의 기록을 인용한 다음에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고 있다. 「백악은 지금의 문화현이며 구월산의 본명은 궐산인데 단군의 궁궐터가 있기 때문이다. 궐산은 소리를 느리게 내어 궐산이 구월산으로 와전되었으며 구월산의 장당경은 또 장장평으로 와전되었을 것이다.

세종때의 사은주부 정척(정척)의 상서에 의하면 「평낭의 기자사당에 가보니 기자의 위패는 북쪽에 있어서 남향하였고 단군의 위패는 동쪽에 있어 서향하였다. 신의 생각으로는 단군은 당요와 같이 입국하였고 기자는 무왕의 명으로 조선에 봉하여졌으니 제왕역년수로 보더라도 제요에서 무왕까지는 1230여년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기자가 북향하여 남면하고 기자보다 앞서서 입국한 단군을 동쪽에 배향하는 것은 입국전세의 선후에 위배됩니다. 신이 본조의 제사의식을 고찰해보니 단군제의 진설도에 이르기를 「신위는 당의 중앙에 모셔서 남면토록 되어있으며 신이 기자사에서 본 서향의 좌는 진설도와 맞지 않다. 만일 단군을 기자와 나란히 남향하게 하더라도 단군을 상좌에 기자를 다음에 앉히는 것이 입국의 선후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름이 기자사당인데 단군을 주신으로 하는 것도 편치 않습니다. 그러므로 신의 생각으로는 따로 단군사당을 지어서 단군을 남향하게 하고 제사를 받들면 사의에도 맞을 것 같다」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세종은 찰조에 명하여 정척의 장서대로 시행토록 하였다. 이상에서 보면 단군은 역대왕조에서는 국조로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받들었으니 기자보다는 상위로 여기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니까 단군의 제향이 끊어진 것은 일제 때부터였다고 본다.

단군조선 연구 숙제

삼국유사의 단군기재는 타서 등에서 뒷받침되는 바가 없지 않으므로 믿을 만한 것이며 일연의 창작은 결코 아님을 알 수 있다. 일연이 인용한 고기도 김부식의 인용고기와 일치되는 바가 많으므로 고기는 당시에 분명히 있었으며 김부식도 선인왕검과 그 도읍지를 평양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기에는 단군사기가 분명히 있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단군의 세년가가 전하여져서 많은 식자들이 알고 있었으며 여러 곳에 단군의 사묘제천단 등 많은 유적이 남아 있다. 또 향단군진설도가 세전되어 왔고 그것은 단군제의가 끊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대왕조에서는 조의에 의하여 건묘 봉제사했던 것이다. 만일 단군이 하나의 전설 신화거리에 불과하다면 위와 같은 일들이 있을 수 있었겠는가. 아무튼 단군과 단군조선에 관한 기재는 숙제로 남길지언정 신화로만 단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삼국사기에서 단군기재를 제외한 것은 김부식의 사대적 태도보다는 ①삼국사기의 명분상 삼국이외에는 부여등도 모두 제외하였으며 ②신라중심의 삼국사로 하였고, 신라보다 상대의 역사는 피하려고 한 데다 ③단군을 부인하려는 생각보다는 신라사를 돋보이게 하려는 의도가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http://blog.naver.com/nabilife/87777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