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사연표
- 중국연대표
- 판문점선언 소요예산
- 우포늪
- 환단고기 출간
- 화원유원지
- 남평문씨
- 단군
- 포토샵 단축키
- 보이저호
- 이승만
- 포토샵
- 10대 뉴스
- 한국역사
- 인수문고
- 10대뉴스
- 포네틱코드
- 전리층
- ISS
- 남평문씨 세거지
- 문태갑
- 행촌이암
- 환단고기
- 상고사
- 대구수목원
- 지구
- SWR
- 1.끝나지 않은 전쟁 2.자연생태계 3.민통선 개척민 4.두 얼굴의 DMZ
- 투후 김일제
- 남평문씨인흥세거지
- Today
- Total
ㅅㅏ진인생/DS5ZWK
사진 구도 본문
구도 |
2002-01-28 |
구도라는 것은 그림을 그릴 때 뿐만 아니라 사진에서도 무척이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사진을 평가할 경우에도 구도에 대해 운운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듯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사진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진의 구도라 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사진의 구도는 주관적이기 때문에 정해진 형식은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구도를 알아둔다면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우선 화면분할을 하여 중요한 주제를 살리고 이를 조화롭게 처리해야 합니다. 초보분들을 대상을 보면 무조건 셔터를 누르기 마련입니다. 물론 다양한 연습을 통해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도 있긴 하지만 처음부터 기본적인 구도를 생각하고 이를 염두해 둔다면 사진의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워 집니다. 기본적인 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중심 (원형) 구도
가장 일반적인 구도로 화면의 중앙에 시선을 집중시킵니다. 주제에 대한 강한 인상을 남길 경우 자주 쓰이면 주로
건축물이나 자연을 대상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조로운 하나의 피사체를 더욱 부각시킬 때 이용됩니다.
이 구도의 촬영은 중앙 집중적이고 구성적입니다.
이 예제 이미지는 미사호님이 물방울울 접사 촬영하신 것입니다. 하나의 피사체를 중심 구도로 잘 포착한 이미지입니다. 기종은 올림푸스 C-2100
2. 삼각형 구도 삼각 구도는 사진의 기본적인 구도이며 원형 구도와 함께 중앙집중적입니다. 주로 풍경촬영에서 쓰이는 구도법으로
사진의 아래쪽에 무게를 주어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좌우가 대칭되어 정적인 느낌을 주어 다소 평범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지만, 많이 사용되는 구도이기 때문에 쉽게 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하얀능선님이 크리스마스 트리를 촬영하신 이미지입니다. 카메라 기종은 올림푸스 C-3040 입니다.
삼각형 구도의 정반대의 구도로 넘어질 것 같은 불안정한 감을 주며 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4. 대각선 구도
다른 구도에 비해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화면에 힘을 넣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구도입니다. 흔한 주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표현으로 단조로운 주제도 좀 더 박진감이 넘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공원님이 촬영하신 사진입니다. 다리를 대각선구도, 로우앵글로 촬영하여 색다른 느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5. 사선 구도
주 피사체가 사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정적인 이미지도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신주학님이 촬영하신 이미지로 피사체가 사선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화면의 중앙을 분할하는 수평구도는 불안한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화면을 거의 반으로 나누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정지호님이 대천항의 석양을 촬영하신 이미지입니다. 화면의 중앙을 분할하는 수평구도로 풍경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예제 이미지는 이성희님이 촬영하신 이미지로 해맞이 풍경을 안정감 있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8. 수평평행선 구도
화면에 수평을 이루는 피사체로 세련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사선 구도에 비해 정적이며 온화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화면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것도 아름답습니다. 최우영님이 노을을 촬영하신 이미지입니다. 구름과 강이 함께 수평을 이루고 있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9. 수평수직 구도
아쭈리님이 촬영하신 이미지로 카메라 기종은 올림푸스 C-2100uz입니다. 멀리 보이는 수평선과 나무가 수직선을 이루고 있어 수평수직구도를 색다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구성미를 강조하는 구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많은 피사체를 한화면에 담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카메라 앵글에 따라 다른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TonG님이 촬영하신 이미지로 전체적으로 많은 피사체를 한 화면에 담기 위한 구도입니다.
camelee님이 보성차 밭을 촬영하신 이미지입니다. 부드러운 곡선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화면의 상하좌우를 나누어 대칭되는 효과를 주는 구도입니다. 질서 정연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줍니다.
하얀능선님이 촬영하신 이미지입니다. 물에 비친 야경을 촬영한 것으로 상하 대칭 구도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초보분들께는 구도 잡기에 정물사진을 많이 연습해보기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정물사진은 피사체를 어떻게 배치하는가에 따라 사진의 이미지가 많이 달라지므로 구도 감각을 기르는 연습이 되므로 피사체의 배치를 이리저리 바꾸어가면서 촬영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카메라(디카.필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용어(ABC...순) (0) | 2006.04.29 |
---|---|
인물촬영 (0) | 2006.04.29 |
카메라 사양 (0) | 2006.04.29 |
카메라 사양1(CCD 등..) (0) | 2006.04.29 |
렌즈에씌여진 글자들 (0) | 200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