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판문점선언 소요예산
- 보이저호
- 행촌이암
- 10대 뉴스
- 중국연대표
- 대구수목원
- 1.끝나지 않은 전쟁 2.자연생태계 3.민통선 개척민 4.두 얼굴의 DMZ
- 인수문고
- 문태갑
- ISS
- SWR
- 남평문씨인흥세거지
- 환단고기 출간
- 우포늪
- 남평문씨
- 투후 김일제
- 포네틱코드
- 한국사연표
- 환단고기
- 상고사
- 남평문씨 세거지
- 단군
- 한국역사
- 전리층
- 포토샵
- 10대뉴스
- 포토샵 단축키
- 지구
- 이승만
- 화원유원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4/11/20 (1)
ㅅㅏ진인생/DS5ZWK
광개토대왕비의 138자를 복원한 계연수의 무술등본(戊戌謄本)
광개토대왕비의 138자를 복원한 계연수의 무술등본(戊戌謄本) 138자를 복원한 운초 계연수의 무술등본(戊戌謄本) 운초 계연수(桂延壽, 1864-1920)는 1898년 5월에 집안에 있는 광개토태왕비를 답사하여 탁본을 떴는데 이것을 무술등본(戊戌謄本)이라 부른다. 필자가 직접 찍은 광개토태왕비 : 고구려 붕괴 이후 발해, 거란, 금, 원의 영토가 됨. 조선의 사신들은 광개토대왕비를 금나라 유적으로 오인. 에는 황폐한 성과 오래된 비석을 언급. 성현 선생은 비를 읽어보지 못했다고 기록. 17세기 청나라 봉금제로 인해 방치. 광개토태왕비 탁본의 종류 : 원석탁본(原石拓本) : 원석탁본(아무런 가공 없이 비석의 상태 그대로 뜬 탁본)인 이른바 ‘청명(靑溟)본’과 ‘미즈다니(水谷)본’ 등 10여본이 있..
고조선[古朝鮮]&환단고기
2024. 11. 20. 18:17